전공 지식 정리/유닉스

#1 Vi 편집기 명령어1

2022. 4. 20. 16:19

화면 단위 조정

ctrl + f : 한 화면씩 파일의 앞으로 이동한다. (아래로)

ctrl + b : 한 화면씩 파일의 뒤로 이동한다. (위로)

ctrl + d : 반 화면씩 파일의 앞으로 이동한다.

ctrl + u : 반 화면씩 파일의 뒤로 이동한다.

ctrl + e : 한 라인씩 파일의 앞으로 이동한다.

ctrl + y : 한 라인씩 파일의 뒤로 이동한다.

 

커서의 이동

화살표키로 이동하는 방법이 있고,

키보드의 h,j,k,l 문자를 통해 이동하는 방법이 있다.

h : 한 문자 왼쪽 / j : 한 라인 아래쪽 / k : 한 라인 위쪽 / l : 한 문자 오른쪽

 

현재 화면에서의 커서 이동

현재 화면을 유지하면서 화면의 상단, 중간, 하단으로 빠르게 이동하는 명령어다.

H : 커서를 현재 화면의 첫 칸으로 이동한다.

M : 커서를 현재 화면의 중간라인 첫 칸으로 이동한다.

L : 커서를 현재 화면의 마지막 라인 첫 칸으로 이동한다.

 

단어 별 커서 이동

w : word의 약어로서 오른쪽으로 한 단어씩 이동한다.

b : back의 약어로서 왼쪽으로 한 단어씩 이동한다.

e : end의 약어로서 현재 커서가 위치한 단어에서 그 단어의 끝 문자를 찾아 이동한다.

 

현재 커서가 속한 라인 내 커서 이동

0 : vi 편집모드에서 숫자 0 입력하면 현재 라인에서 첫 칸으로 커서가 이동한다.

^ : 현재 라인의 첫 번째 단어의 첫 번째 글자 커서가 이동한다.

$ : 현재 커서가 위치한 라인의 마지막 문자로 커서가 이동한다.

 

사용자가 지정한 라인으로 커서 이동

:10

10번째 라인으로 이동

vi편집 모드에서 대문자 G를 입력하면 파일 끝으로 곧바로 이동한다.

 

파일에 라인 번호 매기기

:se nu

set number의 약어로 번호를 표시한다.

:se nonu

set nonumber의 약어로 표시된 번호를 삭제한다.

 

문자열 찾기

:/text

현재 커서 위치에서 아래쪽으로 탐색

:?text

현재 커서 위치에서 위쪽(역방향)으로 탐색

 

문자열을 계속 탐색하려면 소문자 n을 누르고

이전 문자열을 탐색(역방향)하려면 대문자 N을 누른다.

 

입력모드로 전환해 파일 내용 입력

원하는 곳에 커서를 위치시켜놓고 입력모드로 전환하면 된다.

편집모드에서 커서의 위치를 이동하고 입력모드에서 입력하면 된다.

입력모드로 전환하는 명령어는 i, I, a, A, o, O 명령어가 있다.

 

i : 커서 바로 왼쪽(앞쪽)에서 입력모드로 전환된다.

I (대문자 I) : 커서 위치한 라인의 맨 앞 문자에 커서를 위치시키고 입력모드로 전환된다.

a : 커서 바로 오른쪽(뒤쪽)에서 입력모드로 전환된다.

A : 그 라인의 끝에서 입력모드로 전환된다.

o : 커서가 위치한 라인의 바로 아래에 새로운 라인이 추가되고 입력모드로 전환된다.

O : 커서가 위치한 라인의 바로 위에 새로운 라인이 추가되고 입력모드로 전환된다.

 

문자 삭제

x

커서가 위치한 곳에 하나의 문자를 삭제하고 삭제된 문자의 오른쪽 문자로 커서가 이동한다.

5x

연속된 문자열 삭제는 숫자와 같이 입력한다.

 

dw

위치하는 문자 포함한 나머지(오른쪽) 단어가 삭제되고 그 다음 삭제되지 않은 단어와 병합된다.

db

커서 위치에서 왼쪽에 존재하는 나머지 단어 삭제

 

dd

커서가 위치한 라인을 삭제

D

커서가 위치하고 있는 라인에서 커서 이후에 존재하는 나머지 문자 모두 삭제

dG

현재 커서가 위치한 라인에서부터 파일 나머지 모두 삭제

d1G

파일의 처음부터 현재 커서가 위치한 라인까지 모두 삭제

2,5d // n,md

2번째 라인부터 5번째 라인까지 삭제

 

'전공 지식 정리 > 유닉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파일과 디렉토리 - 접근 허가  (0) 2022.06.15
#2 파일과 디렉토리 - mkdir, rmdir, 파일내용출력  (0) 2022.06.15
#2 파일과 디렉토리 - ls명령어  (0) 2022.06.15
#1 Vi 편집기 명령어2  (0) 2022.04.20
#0 유닉스 개념, Vi 편집기 설정 및 간단 조작  (0) 2022.04.20
'전공 지식 정리/유닉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 파일과 디렉토리 - mkdir, rmdir, 파일내용출력
  • #2 파일과 디렉토리 - ls명령어
  • #1 Vi 편집기 명령어2
  • #0 유닉스 개념, Vi 편집기 설정 및 간단 조작
daramG
daramG
dotori Java
daramG
다람쥐의 개발 블로그
daramG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93)
    • Java 코딩테스트 공부 (67)
      • Java 알고리즘 공부 (37)
      • Java 백준 문제풀이 (27)
      • Java 코테 나만의 팁 (3)
    • SQL Study (0)
      • Programmers SQL 문제풀이 (0)
      • SQLP 준비 (0)
    • 웹 개발 지식 정리 (0)
      • Servlet (0)
      • Java 정리 (0)
    • 자바 스프링 (45)
      • 스프링 공부 (4)
      • 스프링 게시판 프로젝트 (6)
      • 부트 블로그 JPA 프로젝트 (30)
      • react & springboot (5)
      • 스프링 오류창고 (0)
      • 리액트 + 스프링 프로젝트 (0)
      • pf (0)
      • pfError (0)
    • React (6)
      • React 정리 (3)
      • React 오류 창고 (3)
    • C++ 코딩테스트 공부 (중단) (20)
      • c++ 백준 문제풀이 (15)
      • c++ 알고리즘 공부 (5)
    • Unity (3)
      • Unity 공부 (3)
    • WebRTC (2)
      • WebRTC 강의학습 정리 (0)
      • WebRTC 프로젝트 (1)
    • 김영한님의 스프링 강의 학습 (10)
      • 스프링 강의 목차 (1)
      • 인텔리제이 & 스프링 기초 (1)
      • 스프링 핵심 원리 (8)
    • 전공 지식 정리 (40)
      • interview (0)
      • Java (0)
      • 운영체제 (4)
      • 데이터베이스 설계 (10)
      • 소프트웨어 공학 (3)
      • 유닉스 (14)
      • 디지털 논리회로 (0)
      • 인공지능 (7)
      • js (0)
      • etc (2)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 김영한의 스프링 핵심 원리
  • 무서운 이야기
  • Unity 공부
  • 부트 jpa 게시판 프로젝트
  • 김영한 스프링 강의
  • 노마드코더의 zoom클론코딩
  • 백준 c++
  • 데이터베이스 설계
  • 코테 알고리즘
  • java 알고리즘
  • React&Spring 강의수강
  • 디지털 논리회로
  • 유닉스
  • 인공지능
  • Java 코테 나만의 팁
  • 스프링 프로젝트
  • 운영체제
  • java
  • Java 백준 문제풀이
  • 스프링 공부
  • 김영한 스프링 입문
  • C++ 알고리즘
  • 스프링부트 블로그 프로젝트

최근 댓글

최근 글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daramG
#1 Vi 편집기 명령어1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