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 지식 정리/데이터베이스 설계

데이터베이스의 개요

daramG 2022. 3. 22. 21:06

데이터

- 현실 세계에서 측정하고 수집한 사실이나 값

- 가공하기 이전의 단순한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 얻은 재료 즉 사실이나 수치, 문자, 음성

 

정보

- 어떤 목적이나 의도에 맞게 데이터를 가공 처리한 것

- 특정 목적에 맞게 가공하여 판단의 근거로 사용될 수 있도록 가치를 부여한 것

 

 

모든 서비스에 DB가 필요할까?

- 1. 입금, 출금, 이체 등 은행 거래

- 2. 호텔 객실의 예약

- 3. 신호등의 램프 제어

- 4.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물품 구매

- 5. 전자식 개폐 장치의 비밀번호 관리

 

DB 시스템의 특성 

- 최초 적재 -> 이벤트 발생에 따른 잦은 변경

- 대용량의 데이터를 다룸

  Q. 사용자들이 원하는 순간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A. 대용량의 데이터가 체계적으로 조직화되어 있어야 한다.

 

데이터베이스

정의 : 특정 조직 내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도록 통합하여 저장한 운영 데이터의 집합체

정의 핵심 : 통합된 데이터, 공영 데이터(공유 데이터), 운영 데이터, 저장 데이터

실질적 의미 : 데이터 및 데이터간 관계의 집합

장점

- 데이터 중복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 데이터 공유성을 최대화할 수 있다.

- 데이터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 데이터의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다.

- 데이터 보안성을 최대화할 수 있다.

- 데이터를 표준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s)

정의 :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하는데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로,

        사용자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베이스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논리적 프로그램

실질적 의미 : 사용자가 Database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프로그램의 집합

DBMS의 필수 기능

- 정의 기능 : 데이터 정의 및 저장 관리

- 조작 기능 : 질의 처리 기능으로 조회, 삽입, 삭제, 갱신

- 제어 기능 : 트랜재션 관리 기능으로 데이터 접근제어, 시스템 오류 발생시 복구 등

종류

- 엑세스, 오라클, SQL 서버, DB2, MySQL, 몽고DB 등

 

데이터베이스 스키마(Schema)

- 데이터베이스 구조, 데이터 타입, 그리고 제약 조건에 대한 명세

- 데이터베이스 설계 단계에서 명시되며, 자주 변경되지 않음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Instance)

- 특정 시점에 데이터베이스에 실제로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 database instance = Occurrence = Sanps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