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 지식 정리/유닉스

#2 파일과 디렉토리 - ln 명령어, 표준 입출력 명령

2022. 6. 15. 21:11
목차
  1. ln (link)
  2. 와일드 문자
  3. 표준 입출력 명령
  4. cat 명령으로 간단한 파일 만들기

 

ln (link) 란?

: 링크 명령어 이용하면 자주 이용하는 파일은 그대로 해당 디렉토리에 존재하지만

사용자는 마치 자신의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처럼 이용할 수 있다.

 

유닉스 파일의 구성

: 파일 속성 저장하고 있는 i-node와 실제 데이터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블럭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단일 파일 구조

inode ㅡ data block

 

$ ls -l daramg.c는 ls 명령을 이용해 daramg.c 파일의 inode 정보를 출력한 것이다.

 

 

ln (link)

링크의 종류는 hard link와 soft link 두 가지가 있다.

속도면에서는 하드링크가 빠르고 편리성은 소프트링크(심볼릭링크)가 편하다.

 

hard link

하드링크 방법은 새로운 파일을 링크할 때 cp명령과 같이 파일을 복사하지 않고

inode만 생성한 후 원본 파일의 데이터 블록에 연결된다.

파일 실제정보(i-node)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기 때문에 링크수가 증가한다.

파일 시스템을 넘어갈 수 없다.

 

soft link

서로 다른 두 크기의 파일이 존재하며 한 개의 파일은 실제 데이터를 갖고 있고,

다른 한 개의 파일은 첫 번째 파일의 이름만 갖고 있으면서 포인터로 사용된다.

링크 수치가 변하지 않는다.

파일 시스템을 넘어가거나 다른 컴퓨터로 넘어갈 수 있다.

 

 

링크 예)

$ ln daramg  <- hard link
$ ln -s daramg  <- soft link

 

링크 해제

링크된 파일을 해제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예시)

$ unlink daramg

 

 

하드 링크

 

하드 링크된 파일은 데이터 블록을 공유함으로 어느 하나를 수정하면 링크된 모든 파일 내용이 동일하게 변한다.

 

현재 디렉토리 모든 파일을 dotori라는 디렉토리로 하드링크 예시)

$ ln * dotori

 

room 디렉토리 밑의 모든 파일을 dotori 디렉토리로 링크 예시)

$ cd room
$ ln * ../dotori
$ ../dotori
$ ls -l

 

 

와일드 문자

wild-card 문자

wild-card 문자를 Unix에서는 메타문자라고 한다.

* : 0개 이상의 문자열 대체

? : 1개의 문자를 대체

 

 

표준 입출력 명령

표준 입출력 : 키보드로부터 입력 받아 모니터에 출력하는 것

변경의 예)

키보드가 아닌 디스크나, 출력의 경우 모니터가 아닌 디스크나 다른 장소에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표준 입출력 변경 명령

$ 명령어 < 입력 파일
$ 명령어 > 출력 파일
$ cal 06 2022 > cal2022
$ cat cal2022

 

$ 명령어 >> 파일명

>> 는 >와 기능이 비슷하지만 >와 달리 이미 존재하는 파일의 내용을 지우지 않고

기존 파일 내용의 끝에 추가시키는 명령어다.

 

 

 

cat 명령으로 간단한 파일 만들기

$ cat > 파일명
...
파일내용
...
ctrl + d

 

-u 옵션 사용 : 작업 도중 정전, 시스템 정지로부터 파일 보호

$ cat -u > daramg.c

 

'전공 지식 정리 > 유닉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파일과 디렉토리 - split, grep, egrep, tr, cut  (0) 2022.06.15
#2 파일과 디렉토리 - sort, wc  (0) 2022.06.15
#2 파일과 디렉토리 - 복사, 삭제, 이동  (0) 2022.06.15
#2 파일과 디렉토리 - 접근 허가  (0) 2022.06.15
#2 파일과 디렉토리 - mkdir, rmdir, 파일내용출력  (0) 2022.06.15
  1. ln (link)
  2. 와일드 문자
  3. 표준 입출력 명령
  4. cat 명령으로 간단한 파일 만들기
'전공 지식 정리/유닉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 파일과 디렉토리 - split, grep, egrep, tr, cut
  • #2 파일과 디렉토리 - sort, wc
  • #2 파일과 디렉토리 - 복사, 삭제, 이동
  • #2 파일과 디렉토리 - 접근 허가
daramG
daramG
dotori Java
daramG
다람쥐의 개발 블로그
daramG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93)
    • Java 코딩테스트 공부 (67)
      • Java 알고리즘 공부 (37)
      • Java 백준 문제풀이 (27)
      • Java 코테 나만의 팁 (3)
    • SQL Study (0)
      • Programmers SQL 문제풀이 (0)
      • SQLP 준비 (0)
    • 웹 개발 지식 정리 (0)
      • Servlet (0)
      • Java 정리 (0)
    • 자바 스프링 (45)
      • 스프링 공부 (4)
      • 스프링 게시판 프로젝트 (6)
      • 부트 블로그 JPA 프로젝트 (30)
      • react & springboot (5)
      • 스프링 오류창고 (0)
      • 리액트 + 스프링 프로젝트 (0)
      • pf (0)
      • pfError (0)
    • React (6)
      • React 정리 (3)
      • React 오류 창고 (3)
    • C++ 코딩테스트 공부 (중단) (20)
      • c++ 백준 문제풀이 (15)
      • c++ 알고리즘 공부 (5)
    • Unity (3)
      • Unity 공부 (3)
    • WebRTC (2)
      • WebRTC 강의학습 정리 (0)
      • WebRTC 프로젝트 (1)
    • 김영한님의 스프링 강의 학습 (10)
      • 스프링 강의 목차 (1)
      • 인텔리제이 & 스프링 기초 (1)
      • 스프링 핵심 원리 (8)
    • 전공 지식 정리 (40)
      • interview (0)
      • Java (0)
      • 운영체제 (4)
      • 데이터베이스 설계 (10)
      • 소프트웨어 공학 (3)
      • 유닉스 (14)
      • 디지털 논리회로 (0)
      • 인공지능 (7)
      • js (0)
      • etc (2)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김영한 스프링 강의
  • 노마드코더의 zoom클론코딩
  • 디지털 논리회로
  • Java 백준 문제풀이
  • 무서운 이야기
  • Java 코테 나만의 팁
  • Unity 공부
  • 데이터베이스 설계
  • java
  • 스프링 공부
  •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 운영체제
  • 인공지능
  • React&Spring 강의수강
  • 유닉스
  • 부트 jpa 게시판 프로젝트
  • C++ 알고리즘
  • 백준 c++
  • java 알고리즘
  • 김영한의 스프링 핵심 원리
  • 스프링부트 블로그 프로젝트
  • 코테 알고리즘
  • 스프링 프로젝트
  • 김영한 스프링 입문

최근 댓글

최근 글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daramG
#2 파일과 디렉토리 - ln 명령어, 표준 입출력 명령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