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rt 명령
: 사용자가 지정한 파일의 내용을 숫자나, 알파벳 등으로 정렬해 그것을 표준 출력하거나
지정한 파일로 출력하는 것을 말한다.
$ sort[옵션] 파일
옵션이 사용되는 경우 옵션에 따라 sort 되고
옵션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 사전식의 오름차순으로 sort 된다. 대문자가 소문자의 값보다 작다.
공백 < 영문자 < 한글
$ cat daramg
$ sort daramg
sort 옵션
-b : 각 필드 처음 나타나는 공백, 탭문자를 무시한다.
-c : 입력파일이 이미 sort 된 파일인지 확인한다.
-d : 사전식으로 정렬시킨다. 숫자, 문자, blank 만을 비교한다.
-f : 파일 내 소문자를 대문자로 간주하여 정렬시킨다.
-m : 정렬된 두 파일을 합병시킨다.
-n : 문자열의 숫자부분을 수치화시켜 정렬시킨다.
-o : 출력을 표준출력으로 보내는 대신에 지정하는 file로 출력
-r : 역순(내림차순) 으로 정렬한다.
-t : 문자를 필드 구분 문자로 취급한다.
-u : 동일한 출력이 연속 생성되는 경우 하나만 출력한다.

두번째 필드 sort 예)
$ sort +1 daramg
3번째 필드 sort 하되 해당 공백을 무시하는 경우
$ sort +2b daramg
5번째 필드부터 문자열의 숫자 부분 sort
$ sort +4n daramg
5번째 필드부터 문자열 숫자 부분 sort 하되 역순으로
$ sort +4nr daramg
daramg 파일을 sort 한 후 daramg2 파일로 저장하는 경우
$ sort -o daramg2 daramg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고 sort
$ sort -f daramg
파일 내용이 중복되는 라인을 한 라인만 출력하는 경우
$ sort -u daramg
daramg를 대소문자 구분 없이 sort하여 daramg2에 저장
$ sort -o daramg2 -f daramg
daramg와 daramg2를 합병해 daramg3에 저장
$ sort -o daramg3 -m daramg daramg2
문자단위 sort 사용
7칸부터 시작해 9칸까지 내용을 가지고 sort 하되 역순으로
$ sort -r +.6 -.9 daramg
pikachu volleyball
rairaichu volleyball
good daram
daramg 파일의 3번째 칸 내용을 역으로 sort하고 그것을 daramg2 파일에 저장
$ sort -o daramg2 -r +.2 -.3 daramg
필터로 사용되는 sort 예 )
$ who | sort
(현재 시스템을 사용중인 사용자의 이름을 사전식으로 나열하였다.)
$ who | sort > daramg
wc 명령 (word count)
: 문자, 단어, 라인을 계산하여 정보를 출력한다.
$ wc[옵션] 파일이름
wc 옵션 종류
-l : 라인의 개수를 출력한다.
-w : 단어의 개수를 출력한다.
-c : 문자의 개수를 출력한다. 이는 파일 크기 측정의 한 가지 방법이 된다.
라인, 단어, 문자수 모두 출력)
$ wc daramg.c
26 65 182 daramg.c
라인수만 출력)
$ wc -l daramg.c
26 daramg.c
라인수 및 단어수 출력)
$ wc -lw daramg.c
26 65 daramg.c
wc를 필터로 사용해 현재 디렉토리 파일 개수 계산
$ ls | wc -l
45
'전공 지식 정리 > 유닉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파일과 디렉토리 - paste, dd, cpio (0) | 2022.06.16 |
---|---|
#2 파일과 디렉토리 - split, grep, egrep, tr, cut (0) | 2022.06.15 |
#2 파일과 디렉토리 - ln 명령어, 표준 입출력 명령 (0) | 2022.06.15 |
#2 파일과 디렉토리 - 복사, 삭제, 이동 (0) | 2022.06.15 |
#2 파일과 디렉토리 - 접근 허가 (0) | 2022.06.15 |
sort 명령
: 사용자가 지정한 파일의 내용을 숫자나, 알파벳 등으로 정렬해 그것을 표준 출력하거나
지정한 파일로 출력하는 것을 말한다.
$ sort[옵션] 파일
옵션이 사용되는 경우 옵션에 따라 sort 되고
옵션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 사전식의 오름차순으로 sort 된다. 대문자가 소문자의 값보다 작다.
공백 < 영문자 < 한글
$ cat daramg
$ sort daramg
sort 옵션
-b : 각 필드 처음 나타나는 공백, 탭문자를 무시한다.
-c : 입력파일이 이미 sort 된 파일인지 확인한다.
-d : 사전식으로 정렬시킨다. 숫자, 문자, blank 만을 비교한다.
-f : 파일 내 소문자를 대문자로 간주하여 정렬시킨다.
-m : 정렬된 두 파일을 합병시킨다.
-n : 문자열의 숫자부분을 수치화시켜 정렬시킨다.
-o : 출력을 표준출력으로 보내는 대신에 지정하는 file로 출력
-r : 역순(내림차순) 으로 정렬한다.
-t : 문자를 필드 구분 문자로 취급한다.
-u : 동일한 출력이 연속 생성되는 경우 하나만 출력한다.

두번째 필드 sort 예)
$ sort +1 daramg
3번째 필드 sort 하되 해당 공백을 무시하는 경우
$ sort +2b daramg
5번째 필드부터 문자열의 숫자 부분 sort
$ sort +4n daramg
5번째 필드부터 문자열 숫자 부분 sort 하되 역순으로
$ sort +4nr daramg
daramg 파일을 sort 한 후 daramg2 파일로 저장하는 경우
$ sort -o daramg2 daramg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고 sort
$ sort -f daramg
파일 내용이 중복되는 라인을 한 라인만 출력하는 경우
$ sort -u daramg
daramg를 대소문자 구분 없이 sort하여 daramg2에 저장
$ sort -o daramg2 -f daramg
daramg와 daramg2를 합병해 daramg3에 저장
$ sort -o daramg3 -m daramg daramg2
문자단위 sort 사용
7칸부터 시작해 9칸까지 내용을 가지고 sort 하되 역순으로
$ sort -r +.6 -.9 daramg
pikachu volleyball
rairaichu volleyball
good daram
daramg 파일의 3번째 칸 내용을 역으로 sort하고 그것을 daramg2 파일에 저장
$ sort -o daramg2 -r +.2 -.3 daramg
필터로 사용되는 sort 예 )
$ who | sort
(현재 시스템을 사용중인 사용자의 이름을 사전식으로 나열하였다.)
$ who | sort > daramg
wc 명령 (word count)
: 문자, 단어, 라인을 계산하여 정보를 출력한다.
$ wc[옵션] 파일이름
wc 옵션 종류
-l : 라인의 개수를 출력한다.
-w : 단어의 개수를 출력한다.
-c : 문자의 개수를 출력한다. 이는 파일 크기 측정의 한 가지 방법이 된다.
라인, 단어, 문자수 모두 출력)
$ wc daramg.c
26 65 182 daramg.c
라인수만 출력)
$ wc -l daramg.c
26 daramg.c
라인수 및 단어수 출력)
$ wc -lw daramg.c
26 65 daramg.c
wc를 필터로 사용해 현재 디렉토리 파일 개수 계산
$ ls | wc -l
45
'전공 지식 정리 > 유닉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파일과 디렉토리 - paste, dd, cpio (0) | 2022.06.16 |
---|---|
#2 파일과 디렉토리 - split, grep, egrep, tr, cut (0) | 2022.06.15 |
#2 파일과 디렉토리 - ln 명령어, 표준 입출력 명령 (0) | 2022.06.15 |
#2 파일과 디렉토리 - 복사, 삭제, 이동 (0) | 2022.06.15 |
#2 파일과 디렉토리 - 접근 허가 (0) | 2022.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