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r 명령
: 파일시스템을 테이프 백업 장치로 백업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다.
$ tar[옵션] 저장매체 [백업할 파일이나 디렉토리 목록]
tar 명령 옵션
-c : 저장매체를 초기화하고 주어진 파일 목록을 저장매체로 저장한다.
-f : 첫 번째 인수가 아카이브 저장할 파일 이름이라는 것을 알려준다. f옵션 사용하지 않을 시 /dev/rmt0 라 부르는
자기 테이프 장치로 설정한다.
-t : tar 아카이브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과 디렉토리 내용을 표준출력으로 출력한다.
-r : 주어진 매체 끝에서부터 주어진 파일 목록을 추가한다.
-v : tar 명령을 수행함에 있어 발생하는 세세한 정보를 모두 출력한다.
-x : 주어진 아카이브로부터 지정된 파일을 추출한다.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 파일을 list.tar라는 파일로 저장 )
$ ls -l
daramg
daramg2
daramg3
$ tar -cvf list.tar *
a daramg 1K
a daramg2 1K
a daramg3 1K
list.tar 파일에 보관된 리스트를 표준 출력 )
$ tar -tvf list.tar
list.tar 파일의 끝에 daram.txt라는 파일을 추가 )
$ tar -rvf list.tar daram.txt
아카이브 파일로부터 파일 추출 )
$ ls
list.tar
$ tar -xvf list.tar
$ls
daramg daramg2 daramg3 daram.txt list.tar
현재 디렉토리 내 모든 파일을 /dev/flo로 덤프 )
$ tar -cf /dev/flo *
/home/dotori 아래에 있는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를 테이프 장치에 백업 받기 )
$ tar -cf /dev/rmt0 /home/dotori
테이프에 백업된 파일들의 리스트 보기 )
$ tar -tvf /dev/rmt0
테이프에 백업된 파일들 아카이브로부터 추출
$ tar -xvf /dev/rmt0
od 명령
: 파일 내용을 8진수 덤프하는 명령어다. 파일 내용이 이진 파일인 경우 그 내용을 팔진수와 같은 형태로 확인가능하다.
$ od [옵션] 파일
od 명령 옵션
-b : 각 바이트를 팔진수로 표현한다.
-c : 각 바이트를 ASCII 코드로 출력한다. ex NULL문자 -> \0, tab문자 -> \t
-d : 각 바이트를 10진수로 나타낸다.
-o : -b 옵션과 함께 팔진수로 표현한다.
-x : 각 단어를 16진수로 나타낸다.
팔진수 형태로 덤프 )
$ od daramg.c
0000000 024051 035302 036232
0000020 016363 052061 013153
ASCII 코드로 출력 )
$ od -c daramg.c
000000 d a r a m G \n g o o d
000020 r e a l \t g o o d
16진수로 출력 )
od -x daramg.c
0000000 6d26 253e ...
파일 압축
: 큰 파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디스크 공간을 압축하여 보관할 수 있다.
압축방법에는 손실 압축과 비손실 압축이 있다.
손실 압축 : 대표적 손실 압축 기법으로 JPEG, MP3 등이 있다. 압축률이 비손실 압축에 비해 좋다.
비손실 압축 : Unix에서는 몇가지 비손실 압축 명령이 제공된다.
pack/unpack , compress/uncompress , gzip 등이 있다.
pack/unpack
: pack/unpack 명령은 호프만 압축 기법을 사용한다.
pack 명령어
pack 명령을 사용하면 원래 파일에 .z가 부가된 파일명을 가진다.
$ pack daramg.c
$ ls -l daramg.c.z
여기서 $ cat daramg.c.z를 해서 압축 내용을 보면 외계어처럼 보일 것이다.
따라서 압축된 상태에서 압축 되기 전 내용을 보기 위해서는
pcat 명령어를 사용해야 한다.
pcat 명령어
: 압축된 상태에서 압축되기 전 내용 보기
$ pcat daramg.c.z
pack 명령어에서 - 옵션
: 압축된 파일의 압축 상태 및 정보를 표준출력한다.
$ pack - daramg.c
unpack 명령어
: .z 확장자를 가진 압축 파일을 원래 파일 형태로 압축해제 하는 명령어다.
$ unpack daramg.c.z
compress 명령어
: pack 명령과 함께 파일 압축 명령어다. 파일 확장자는 .Z이다.
compress 명령어
compress 명령어 옵션
-c : 파일 압축 시 원본 파일 삭제하지 않고 그대로 남겨둔채로 화면에 압축한다.
-v : 압축 시 압축률 등의 상세 정보를 출력한다.
uncompress 명령어
uncompress 명령어 옵션
-c : 원본 파일 삭제하지 않고 그대로 남겨둔채로 화면에 압축을 해제한다.
-v : 압축 해제되는 파일의 상세 정보를 출력한다.
zcat 명령어
: compress 명령으로 압축된 파일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화면에만 그 파일의 압축 해제된 내용을
출력하는 명령어다.
zcat 명령과 > 를 함께 사용해서 본래 파일 내용을 다른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 zcat daramg.Z
$ zcat daramg.Z > dotori
$ cat dotori
.
.
.
'전공 지식 정리 > 유닉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파일과 디렉토리 - at, sleep, batch (0) | 2022.06.16 |
---|---|
#2 파일과 디렉토리 - 컴파일, 파이프라인, 백그라운드 작업 (0) | 2022.06.16 |
#2 파일과 디렉토리 - paste, dd, cpio (0) | 2022.06.16 |
#2 파일과 디렉토리 - split, grep, egrep, tr, cut (0) | 2022.06.15 |
#2 파일과 디렉토리 - sort, wc (0) | 2022.06.15 |
tar 명령
: 파일시스템을 테이프 백업 장치로 백업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다.
$ tar[옵션] 저장매체 [백업할 파일이나 디렉토리 목록]
tar 명령 옵션
-c : 저장매체를 초기화하고 주어진 파일 목록을 저장매체로 저장한다.
-f : 첫 번째 인수가 아카이브 저장할 파일 이름이라는 것을 알려준다. f옵션 사용하지 않을 시 /dev/rmt0 라 부르는
자기 테이프 장치로 설정한다.
-t : tar 아카이브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과 디렉토리 내용을 표준출력으로 출력한다.
-r : 주어진 매체 끝에서부터 주어진 파일 목록을 추가한다.
-v : tar 명령을 수행함에 있어 발생하는 세세한 정보를 모두 출력한다.
-x : 주어진 아카이브로부터 지정된 파일을 추출한다.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 파일을 list.tar라는 파일로 저장 )
$ ls -l
daramg
daramg2
daramg3
$ tar -cvf list.tar *
a daramg 1K
a daramg2 1K
a daramg3 1K
list.tar 파일에 보관된 리스트를 표준 출력 )
$ tar -tvf list.tar
list.tar 파일의 끝에 daram.txt라는 파일을 추가 )
$ tar -rvf list.tar daram.txt
아카이브 파일로부터 파일 추출 )
$ ls
list.tar
$ tar -xvf list.tar
$ls
daramg daramg2 daramg3 daram.txt list.tar
현재 디렉토리 내 모든 파일을 /dev/flo로 덤프 )
$ tar -cf /dev/flo *
/home/dotori 아래에 있는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를 테이프 장치에 백업 받기 )
$ tar -cf /dev/rmt0 /home/dotori
테이프에 백업된 파일들의 리스트 보기 )
$ tar -tvf /dev/rmt0
테이프에 백업된 파일들 아카이브로부터 추출
$ tar -xvf /dev/rmt0
od 명령
: 파일 내용을 8진수 덤프하는 명령어다. 파일 내용이 이진 파일인 경우 그 내용을 팔진수와 같은 형태로 확인가능하다.
$ od [옵션] 파일
od 명령 옵션
-b : 각 바이트를 팔진수로 표현한다.
-c : 각 바이트를 ASCII 코드로 출력한다. ex NULL문자 -> \0, tab문자 -> \t
-d : 각 바이트를 10진수로 나타낸다.
-o : -b 옵션과 함께 팔진수로 표현한다.
-x : 각 단어를 16진수로 나타낸다.
팔진수 형태로 덤프 )
$ od daramg.c
0000000 024051 035302 036232
0000020 016363 052061 013153
ASCII 코드로 출력 )
$ od -c daramg.c
000000 d a r a m G \n g o o d
000020 r e a l \t g o o d
16진수로 출력 )
od -x daramg.c
0000000 6d26 253e ...
파일 압축
: 큰 파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디스크 공간을 압축하여 보관할 수 있다.
압축방법에는 손실 압축과 비손실 압축이 있다.
손실 압축 : 대표적 손실 압축 기법으로 JPEG, MP3 등이 있다. 압축률이 비손실 압축에 비해 좋다.
비손실 압축 : Unix에서는 몇가지 비손실 압축 명령이 제공된다.
pack/unpack , compress/uncompress , gzip 등이 있다.
pack/unpack
: pack/unpack 명령은 호프만 압축 기법을 사용한다.
pack 명령어
pack 명령을 사용하면 원래 파일에 .z가 부가된 파일명을 가진다.
$ pack daramg.c
$ ls -l daramg.c.z
여기서 $ cat daramg.c.z를 해서 압축 내용을 보면 외계어처럼 보일 것이다.
따라서 압축된 상태에서 압축 되기 전 내용을 보기 위해서는
pcat 명령어를 사용해야 한다.
pcat 명령어
: 압축된 상태에서 압축되기 전 내용 보기
$ pcat daramg.c.z
pack 명령어에서 - 옵션
: 압축된 파일의 압축 상태 및 정보를 표준출력한다.
$ pack - daramg.c
unpack 명령어
: .z 확장자를 가진 압축 파일을 원래 파일 형태로 압축해제 하는 명령어다.
$ unpack daramg.c.z
compress 명령어
: pack 명령과 함께 파일 압축 명령어다. 파일 확장자는 .Z이다.
compress 명령어
compress 명령어 옵션
-c : 파일 압축 시 원본 파일 삭제하지 않고 그대로 남겨둔채로 화면에 압축한다.
-v : 압축 시 압축률 등의 상세 정보를 출력한다.
uncompress 명령어
uncompress 명령어 옵션
-c : 원본 파일 삭제하지 않고 그대로 남겨둔채로 화면에 압축을 해제한다.
-v : 압축 해제되는 파일의 상세 정보를 출력한다.
zcat 명령어
: compress 명령으로 압축된 파일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화면에만 그 파일의 압축 해제된 내용을
출력하는 명령어다.
zcat 명령과 > 를 함께 사용해서 본래 파일 내용을 다른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 zcat daramg.Z
$ zcat daramg.Z > dotori
$ cat dotori
.
.
.
'전공 지식 정리 > 유닉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파일과 디렉토리 - at, sleep, batch (0) | 2022.06.16 |
---|---|
#2 파일과 디렉토리 - 컴파일, 파이프라인, 백그라운드 작업 (0) | 2022.06.16 |
#2 파일과 디렉토리 - paste, dd, cpio (0) | 2022.06.16 |
#2 파일과 디렉토리 - split, grep, egrep, tr, cut (0) | 2022.06.15 |
#2 파일과 디렉토리 - sort, wc (0) | 2022.06.15 |